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5

빅뱅 이론 : 우주의 시작, 배경복사, 오해와 진실 우주의 시작 0.0000000000001초, 빅뱅 이전의 미스터리우주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은 수천 년 동안 인류의 상상력을 자극해 왔습니다. 현대 우주과학은 이 질문에 대해 ‘빅뱅 이론’이라는 강력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는 지점은 바로 그 이전, 즉 우주가 시작되기 전 0.0000000000001초의 시점입니다. 과연 우리는 그 순간을 논할 수 있을까요?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리 우주는 약 138억 년 전, 극도로 작고 밀도가 무한에 가까운 특이점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급격한 팽창이 일어났고, 이를 우리는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문제는 바로 이 특이점 이전, 즉 시간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고 여겨지는 영역입니다. 현재의 물리학, 특히 일반상대성이.. 2025. 6. 4.
우주의 팽창 속도 : 허블 상수, 시간의 흐름, 웹 망원경 허블 상수의 딜레마우주의 팽창 속도는 현대 우주론에서 가장 핵심적인 물리 상수 중 하나입니다. 이 속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이 바로 허블 상수(Hubble constant)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오늘날까지도 허블 상수를 정확히 단일 값으로 정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른 값이 나오기 때문인데, 이를 과학계에서는 ‘허블 텐션(Hubble tension)’이라 부릅니다. 전통적으로 허블 상수는 멀리 있는 은하들이 지구에서 얼마나 빠르게 멀어지는지를 측정함으로써 계산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가 허블 우주망원경(HST)입니다. 이 망원경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초신성이나 세페이드 변광성과 같은 ‘표준 촛불(standard candles)’을 활용해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 2025. 6. 3.
블랙홀 그림자의 포착, 비교 분석, 복원 기술의 진화 빛도 빠져나가지 못한 흔적: 블랙홀 그림자의 포착블랙홀은 그 특성상 어떠한 전자기파도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망원경으로 직접 관측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천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오늘날 ‘블랙홀 그림자’라는 개념을 통해, 이 신비로운 천체의 존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관측이 불가능한 블랙홀의 ‘그림자’를 과학자들은 어떻게 포착한 것일까요? 그 핵심에는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EHT는 지구 전역에 분포한 수많은 전파망원경을 연결해 지구 크기만 한 가상의 망원경을 구현한 국제 협력 프로젝트입니다. 이를 통해 극도로 미세한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2019년 인류 역사상 처음으.. 2025. 6. 3.